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취득_Zertifikat/기사자격증_소방설비기사

[소방설비기사]_복습(6)

by 휘날려 2020. 10. 8.

소방설비기사 복습 화이팅!

 

1. 기동스위치 조작에 의한 기동용기 미개방 원인

   1) 기동용 타이머 불량

   2) 제어반 전원 공급 차단

   3) 기동용 솔레노이드 코일 단선

   4) 기동용 솔레노이드 절연 파괴

   5) 기동스위치 접점 불량

- 이건 생각을 좀 해보면 되는데... 현장에서 MCC Fault 뜨거나, 모터가 갑자기 동작하지 않거나... 설비 문제 생기면, 전기파트에서는 많은 걸 의심해봐야 하지만, 우선적으로 접점불량, 혹시 차단기가 내려가지 않았는지, ECOR Trip 인지를 확인하고... 그래도 안 되면 해당 설비의 절연저항, 선간저항 등을 체크하면서 원인을 찾아나간다. 그 정도 생각하면 외우기 쉽지 않을까 ?

 

2. 비상조명등 설치 기준

   1)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거실과 그로부터 지상에 이르는 복도, 계단 및 그 밖의 통로에 설치할 것 

   2) 조도는 비상조명등이 설치된 장소의 각 부분의 바닥에서 1lx 이상 되도록 할 것

   3) 예비전원을 내장하는 비상조명등에는 평상시 점등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스위치를 설치하고 해당 조명등을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의 축전지와 예비전원 충전장치를 내장할 것

   4) 비상전원은 비상조명등을 20분 이상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으로 할 것

   5) 예비전원을 내장하지 아니하는 비상조명등의 비상전원은 자가발전설비, 축전지설비 또는 전기저장장치를 사용할 것

- 비상조명등 설치된 곳을 보면, 대부분 거실, 복도, 통로와 같은 곳이다. 비상전원의 용량은 아래에서도 확인할 수 있지만 20분이다. 예비전원이 없는 경우 비상전원은 축전지설비, 자가발전설비, 전기저장장치. 이것도 현장의 Diesel Generator, Battery, UPS등을 생각해보면 예비전원이 어떤것으로 되는지 알수 있을 것이고... 예비전원이 있으면 점등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점검스위치를 설치하고 해당 조명등을 유효하게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의 축전지와 예비전원 충전장치를 내장해야 하네. 비상조명등이 빛나는건 평소에는 볼 수 없으니, 테스트용으로 점검스위치를 만들어 놓으라는 것 같다. 점검 스위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용량의 축전지와 예비전원 충전장치.

 

 

3. 비상전원의 용량

- 여기서는 20분짜리가 가장 출제가 많이 되는것 같다. 30분은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증폭기 하나 뿐. 독특해서 외우기 좋다.

종류 시간
자동화재탐지설비, 비상경보설비, 자동화재속보설비 10분
유도등, 비상조명등, 비상콘센트설비, 제연설비, 물분무소화설비
옥내소화전설비(30층 미만)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30층 미만)
연결송수관설비(30층 미만)
스프링클러설비(30층 미만)
20분
무선통신보조설비의 증폭기 30분
옥내소화전설비(30~49층)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30~49층)
연결송수관설비(30~49층)
스프링클러설비(30~49층)
40분
유도등, 비상조명등(지하상가 및 11층 이상)
옥내소화전설비(50층 이상)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50층 이상)
연결송수관설비(50층 이상)
스프링클러설비(50층 이상)
60분

 

4. 분기회로의 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 시설

저압 옥내 간선에서 분기하여 전기 사용 기계기구에 이르는 분기회로의 분기개폐기는 다음과 같이 시설하여야 한다.

1) 분기점에서 전선의 길이가 3m 이하인 곳
2) 분기점에서 전선의 허용전류가 과전류차단기 정격전류의 35% 이상인 경우에는 전선의 길이가 8m 이하인 곳

3) 분기점에서 전선의 허용전류가 과전류차단기 정격전류의 55% 이상인 경우에는 전선의 길이가 3m를 초과하는 임의의 거리

 

- 원칙적으로는 분기회로에서 3m 이내에 EOCR을 설치해야 하는데... 아닐 경우 2, 3을 고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