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 취득_Zertifikat/기사자격증_소방설비기사

[소방설비기사]_복습(5)

by 휘날려 2020. 10. 6.

복습_힘내자!

 

1. 국가화재안전기준에서 정하는 청각장애인용 시각경보장치의 설치기준 4가지는?

- 정말 쉽게 볼 수 있는 문제다. 빈칸 채워넣기로 나오기도 하고, 19년 4월은 아예 4가지를 서술형으로 다 적으라고 출제됐다(너무하다...심지어 9점짜리...). 어느 정도 생각하면 외우는데 어렵지는 않으나, 시험때 긴장을 하거나 어설프게 외우면 9점을 다 받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

 

1) 복도, 통로, 청각장애인용 객실 및 공용으로 사용하는 거실에 설치하며, 각 부분에서 유효하게 발할 수 있는 곳에 설치

2) 공연장, 관람장, 집회장 또는 이와 유사한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시선이 집중되는 무대부에 설치할 것

3) 설치 높이는 바닥으로부터 2~2.5m높이에 설치(단, 천장이 2m 이하인 경우 천장에서 0.15m 이내의 장소에 설치).

4) 광원은 전용의 축전지설비, 전기저장장치에 의해 점등되도록 할 것(단, 시각경보기에 작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형식승인을 얻은 수신기를 설치한 경우는 제외).

 

이 부분은 달달 외우기 보다 생각을 하면서 외우면 좋음.

내가 만약 청각장애인이라 위급한 순간에 경보를 못 듣는다면?

시각적인 부분에 의존해야 할 텐데, 복도, 통로와 같이 누구나 접근할 수 있고, 눈에 띄기 쉬운 곳에 설치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무대부분 또한 사람의 시선이 집중되는 곳이니 인지하기 좋다.

 

2. 스위치 주의등 점멸의 의미

스위치 주의등 점멸하는 경우 스위치 주의등 점멸하지 않는 경우
자동복구 스위치 ON
지구경종 정지 스위치 ON
주경종 정지 스위치 ON
도통시험 스위치 ON
동작시험 스위치 ON
예비전원 스위치 ON
복구스위치 ON

자동복구 스위치랑 복구스위치 헷갈리지 말기...

 

 

3. 누전경보기의 용어 정의

1) 누전경보기 : ~~전기설비로부터 누전전류를 탐지하여 경보를 발하며, 변류기와 수신부로 이루어진 것

2) 수신부 : 변류기로부터 검출 된 신호를 수신하여 누전의 발생을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에게 경보하여 주는 것

3) 변류기 : 경계전로의 누설전류를 자동으로 검출하여 이를 누전경보기의 수신부에 송신하는 것

 

* 검출한다고 해서 검출부? 검출기? 라고 답 하면 안 된다...!

 

4. 통로유도등 설치 제외 장소

1) 복도, 통로의 길이가 30m 미만인 곳(구부러지지 않은 복도, 통로)

2) 보행거리가 20m 미만인 복도, 통로(출입구에 피난구유도등이 설치된 복도, 통로)

 

5. 비상조명등 설치 제외 장소

1) 거실 각 부분에서 출입구까지의 보행거리가 15m 이내

2) 공동주택, 경기장, 의원, 의료시설, 학교 거실 ...?

 

6. 휴대용 비상조명등 설치 제외 장소

1) 복도, 통로, 창문 등을 통해 피난이 용이한 경우(지상 1층, 피난층)

2) 숙박시설로서 복도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한 경우

 

7. 높이별 설치 감지기 - 조금 잘 안외워지네요..

높이 감지기
~4m 차동식 (스포트형, 분포형) 감지기
보상식 스포트형 감지기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선형) 감지기
이온화식, 광전식(스포트형, 분리형, 공기흡입형) 감지기
열복합형 감지기
연기복합형 감지기
열연기복합형 감지기
불꽃감지기
4~8m 차동식 (스포트형, 분포형) 감지기
보상식 스포트형 감지기
정온식 (스포트형, 감지선형) 감지기 특종, 1종

이온화식 감지기 1, 2종
광전식(스포트형, 분리형, 공기흡입형) 감지기 1종, 2종
열복합형 감지기
연기복합형 감지기
열연기복합형 감지기
불꽃감지기
8~15m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이온화식 감지기 1, 2종
광전식(스포트형, 분리형, 공기흡입형) 감지기 1종, 2종
연기복합형 감지기
불꽃감지기
15~20m 연기복합형 감지기
이온화식 감지기 1종
광전식(스포트형, 분리형, 공기흡입형) 감지기 1종
불꽃감지기
20m~ 광전식(분리형, 공기흡입형) 감지기 중 아날로그식
불꽃감지기

 

화이팅..!

댓글